본문 바로가기
GMP/미생물

그람염색(Gram staining)

by ACE SKIM 2020. 2. 22.
반응형

그람염색이란?

 

그람염색은 세균을 구분하기 위한 염색법 중 하나로 

세포벽의 구성성분의 차이를 이용하여 세균이 그람양성인지 그람음성세균인지 구분할 수 있다.

 

1)그람염색 방법

0. 시료고정: 알코올램프로 화염 고정

   (시료가 액체가 아닌 경우, 콜로니를 따서 증류수로 퍼지게 하여 화염고정한다.)

1. Crystal violet 용액 (1min)

2. 착색: Iodine용액(매염제,1min)

3. 탈색: alcohol solution

4. 대비염색: Safranin용액

 

*crystal violet용액은 염기성 시약으로 세포에 존재하는 산성물질인 핵(neucleic acid)과 잘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한 단순염색법에 사용된다. 이외에 

2)그람염색의 원리: 세포벽의 구성성분 차이

 

References

https://ib.bioninja.com.au/options/untitled/b1-microbiology-organisms/gram-staining.html

  Gram + Gram -
세포벽의 주성분 90% 펩티도글리칸 10% 펩티도글리칸 + LPS
독소 외독소

내독소

그람염색 결과 보라색 붉은색
기타

항생제의 대부분이 세균의 세포벽을 깨서 죽이는 작용인데

페닐실린계 역시 그렇다.

균혈증,패혈증

(혈액 내에 균이 있는 경우, 세균을 죽여도 독소인 LPS층이 남는 그람음성 세균의 경우 문제가 있어 임상의학적으로 그람음성세균이 더욱 경계하고 있다.)

균혈증:내독소가 혈관 내에 존재하는 것

패혈증:

반응형

댓글